2023년 한부모가정 조건 및 지원금 혜택 - 클리블리의 복지정책 이야기

    한부모 가정이라면 대한민국에서 조건만 충족된다면 다양한 복지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부모 가정이라면 꼭 지원 혜택을 신청해야만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한부모 가정 정부 지원 대출신혼희망타운을 통해 주거지원을 받을 수 있는 내용 또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023년부터 한부모 가정이라면 받을 수 있는 복지와 지원금 혜택과 신청 방법을 아래에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2023년 한부모가정 조건 및 지원금 혜택

      한부모 가정은 차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소득과 재산, 자동차 등을 확인하여 양육비등 주거 비용 및 양육비 지원, 교육 및 취업,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주거급여의료급여와 함게 한부모 가정 지원을  중복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한부모 가정 지원 자격 조건 및 소득구간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한부모가정 대출 알아보기

      한부모가정 대출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2023년 한부모 가정 지원 자격 조건

      부모 가정 지원 자격 조건 및 선정 기준 
      소득 한부모가적 가족 확인서 발급
      기준 중위 소득60% 이하
      복지 급여 지급 기준 
      중위소득 52%이하
       
      재산 대도시 기준 6,900 만원 이하 중소 도시 4,200만원 이하 농어촌 3,500만원이하
      자동차 배기량 2000cc 미만 차령 10년 이상인 자동차 10년 미만자동차 이 경우 차량 가액 500만원 미만   
      • 세대주의 엄마 또는 부모 혼자 18세 미만 (학교 다닐 시 만 22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는 경우
      • 만 18세 미만의 손자,손녀 를 둔 할아버지, 할머니가 양육하는 조손 가족
      • 가구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60%이하

      한부모가정 지원 자격이 2023년 부터는 기준 중위소득이 60% 이하이며, 대도시의 경우 6,900만원 이하, 중소 도시의 경우 4,2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아래에서 정확한 중위소득표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2022년 중위소득표 및 중위소득별 지원 혜택

      중위소득 을 통해 다양한 복지 정책을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2021년 대비 2022년 에 중위소득 기준 소득 금액이 5% 가량 올라 기존에 소득금액이 기준에 미달하여 지원받지 못하였다면 2022년 중위

      welfare.clybly.co.kr

       

      조손 가족이란?

      • 부모가 사망하거나 생사 확인이 어려운 아동
      • 부모가 신체의 장애 또는 질병으로 장기간 노동 능력이 없어 아이를 키울 수 없는 경우
      • 부모가 6개월 이상의 장기 복역으로 부양받을 수 없는 아동
      • 부모가 이혼하거나 유기하여 부양받을 수 없는 아동
      • 부모가 가정의 불화 등으로 가출하여 부모의 부양을 받을 수 없는 아동

       

      2023년 한부모가정 소득 조건

        소득 구간 연도 2인 3인 4인 5인
      한부모 및
      조손 가족
      양육비 지원
      (중위 소득 60%)
      2023년 2,073,693 2,660,890원 3,240,548원 3,798,413원
      한부모 가족
      확인서 발급
      (중위소득 60%)
      2023년 2,073,693 2,660,890원 3,240,548원 3,798,413원
      청소년 
      한부모 가족 
      양육비 지원
      (중위 소득 65%)
      2023년 2,073,693 2,660,890원 3,240,548원 3,798,413원
      한부모 가족
      확인서 발급
      (중위 소득 72%)
      2023년 2,488,432원 3,193,068원 3,888,694원 4,558,095원

      양육비지원은 한부모 가정과 조손 가족의 경우 중위소득 60% 중위소득인 경우 지원되며,  청소년 한부모가정의 경우 중위소득 72% 일 경우 지원 대상이 되게 됩니다.

       

      ▷  한부모가정 증명서 발급 바로가기

      한부모가정 증명서 발급

       

      2023년 한부모가정 지원금 내용

        지원 자격 지원 내용
      아동 양육비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만 18세 미만 아동

      중위소득 52% 이하
      중위소득 52%~ 58% 
      중위소득 별

      자녀 1인당
      월 20만원 지원
      자녀 1인당 월 10만원 지원
      아동양육비 청소년 한부모 가정

      중위소득 60% 이하
      중위소득 60%~65%이하
      중위소득별

      자녀 1인당 월 35만원 지원
      자녀 1인당 월 25만원 지원
      추가 아동 양육비

      (중위소득 58%)
      (청소년 한부모가정 중위소득 65%)
      조손 가족 및 만 35세 이상 한부모 가정

      만 5세 이하 아동 지원


      1인당 
      월 50,000원 지원
      추가 아동 양육비 만 2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한부모가정

      만 5세 이하 자녀
      만 6세~18세 미만 자녀

      만 5세이하 자녀
      자녀 1인당 월 10만원 지원

      만 6세 ~ 18세 미만 자녀
      자녀 1인당 월 5만원 지원

      중,고등학생 학용품 비 저소득 한부모 가정의
      중학생 및 고등학생 자녀

      (중위소득 58%이하)
      자녀 1인당
      1년 8만3천원 지원
      생계비
      (생활보조금)
      한부모가족 복지 시설에 입소한
      저소득 한부모가족 
      가구당 월 5만원 지원
      주거 지원
      (신혼희망타운)
      무주택 세대 구성원 임대 주택 특별공급
      보육료 지원 어린이집 이용하는 만 0~5세 아동

      만 0세
      만 1세
      만 2세
      만 3세
      만 4세
      만 5세
      만 나이별

      49만9천원
      43만9천원
      36만 4천원
      28만원
      28만원
      28만원
      아동 수당
      만 8세 까지 월 10만원
      부모 급여 2023년
      만 0세

      만 1세 이하
      만 0세
      월 70만원

      만 1세이하
      가정양육 35만원
      시설 양육 50만원
      • 아동양육비
      • 추가아동양육비
      • 학용품비
      • 생계지원금
      • 주거지원 (신혼희망타운)
      • 보육료 지원
      • 아동 수당
      • 부모급여

      아동양육비를 월 20만원 지원 받을 수 있으며, 자녀 1인당 학용품비를 8만3천원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한부모가족 복지시설에 입소한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경우 생활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주거지원인 신혼희망타운을 통해 공공주택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생계비가 급하다면 저금리 생활자금을 통해 생활자금을 저금리로 지원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아동수당은 만 8세 까지 월 10만원을 지원하며, 중복으로 받을 수 있느 부모급여는 만 0세 는 월 70만원을 지원하며, 만 1세이하의 경우 가정 양육할 경우 월 35만원, 시설 이용시 50만원을 지원 받습니다.

       

      한부모가정 대출 리스트 바로가기


      한부모가정이라면 지원 받는 한부모가정 대출 정보

      한부모가정 지원 혜택 신청 방법

      한부모 가정 지원 대상자라면 지원 신청을 하기 전에 준비해야 할 준비물(구비서류)이 있습니다. 준비물은 아래와 같습니다. 

      ☞ 온라인 신청 준비물

      • 임대차 계약서 (확정일자를 받은 계약서만  가능) 
        • 본인 소유 주택을 다른 사람에게 빌려준 경우 :: 전 월세 계약서
        • 상가 임대 및 사업체 운영하는 경우 :: 상가 계약서
        • 논*밭 등 재산을 빌려주건 빌린 경우 임대차 계약서 
      • 공공기관 부채증명원
        • 정부, 지자체, lh공사, 미소금융, 한국장학재단 등 공공기관 대출이 있을 경우 대출 증명 서류 
      • 기타 부채 증명서류
        • 법원 판결에 따라 빌리 돈이 확인될 경우, 판결문
        • 온라인 신청을 할 경우 위와 같은 준비물은 필히 본인이 직접 준비하셔서 신청하셔야 합니다.

       

      ☞ 온라인 신청방법

      한부모 가정 지원을 받기 위해 신청하시는 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신청으로 가능하며, 온라인의 경우 대한민국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한부모 가정 복지로 신청 바로 가기

       

      ☞  오프라인 신청 방법

      오프라인 준비물 

      • 소득 재산 신고서
      •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 제공 신청서
      • 사회 복지 서비스 및 급여 신청서
      •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 임대차 계약서 

      오프라인의 경우 가까운 주민센터를 방문한다면 "임대차 계약서"만 준비해서 가져가신다면 다른 서류들은 구청에 구비되어 있어 신청 가능합니다. 

       

      한부모가정 중복 지원 받을수 있는 복지 혜택

      한부모 가정 지원 받으며 다양한 복지 혜택을 지원받을 수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청소년 한부모의 자립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교육비 지원 등 영구임대 주택 등 다양한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한부모가족 자녀 교육비 지원 
      • 한부모 가족 복지 시설 지원
      • 청소년 한부모 자립 지원
      • 행복 주택 공급
      • 양육비 이행 원스톱 종합서비스 

      등이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에 이미지처럼 복지로 홈페이지에 접속 후 "한부모"라고 검색하신다면 복지 혜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부모 가정 지원

      혹시 출산을 하신지 얼마 안 되셨다면 출산 후에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출산 지원 복지지원 혜택 또한 확인하신다면 조금이라도 복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 지원 복지 무료 컨설팅 신청 


      카톡 무료 알림 신청하기

      카톡 알림 신청을 한다면 정부 정책 지원금 및 다양한 복지 정책 혜택을 빠르게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아래 카톡 무료 알림 받기를 통해 채널을 추가하면 된답니다.


      다양한 복지 혜택들을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함께 받을 수 있는 유용한 복지 혜택들이 있으니 꼭 확인하시고 놓치지말고 복지 혜택 신청하셔서 지원 받으시길 바랍니다. 

       

       

      신혼희망타운 조건 및 선정방법

      신혼부부라면 주거에 대해 매우 예민하게 생각하는데요. 국가에서 신축 아파트의 물량을 신혼부부에게 배정하는 신혼희망타운을 신청하다면 새로 지어진 아파트에 입주할 수 있습니다. 신혼부

      today.haoah.co.kr

      2022년 출산 혜택 리스트 모음

       

      2022년 출산 혜택 리스트 모음

      새로 2022년 부터 도입되는 출산 지원금과 살짝 명칭과 지원금액이 달라지는 내용들이 많이 있는데요. 신청을 안한다면 못받기도 하고 중복 가능한 지원들과 각각 출산 혜택에 대해 많이 내용이

      welfare.clybly.co.kr

      한부모 가정 대출 리스트

       

      한부모 가정 대출 리스트

      2022년에도 한부모 가정이라면 한부모 가정 복지 지원 혜택 외 대출 상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부모 가정 지원 혜택 글을 통해 다양한 분이 대출유형에 대해 궁금해하셔서 , 한부모 가정이라면

      welfare.clybly.co.kr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및 사용처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및 사용처

      임산부라면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게 됩니다. 하지만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아도 도통 어디에 사용하는지, 어떻게 사요해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 모르는 분들을 위한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welfare.clybly.co.kr

      한부모 가정 지원 혜택

       

      한부모 가정 지원 혜택 2022

      목차 한부모 가정이라면 대한민국에서 조건만 충족된다면 다양한 복지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2년부터 한부모 가정이라면 받을 수 있는 어떤 복지 지원 혜택이 있는지 아래에서 확인

      welfare.clybly.co.kr

      다자녀 혜택 알아보기

       

      2022년 다자녀 혜택 알아보기

      2021년에서 2022년이 되면서 정책지원들이 바뀌게 되는데요, 다자녀 혜택의 경우 기준이 완화되면서 기존 3자녀였으나 2자녀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어, 2022년부터는 다자녀 지원을 폭넓게 지원받

      welfare.clybly.co.kr

      2022년 300만원 지원받는 첫만남 이용권 (첫만남 꾸러미)

       

      2022년 첫만남 이용권 (첫만남 꾸러미) 신청방법 과 사용처

      2022년부터 지원 금액이 대폭 늘어나는 되는 첫 만남 이용권(첫 만남 꾸러미) 신청방법과 사용처를 자세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첫 만남 이용권 신청 방법 및 사용처에 대해 아래에서 확인해보

      welfare.clybly.co.kr

      2022년 영아 수당 알아 보기

       

      2022년 영아 수당 알아 보기

      출산 시 혜택 받을 수 있는 영아 수당, 육아 수당, 양육 수당 총 3가지가 있습니다. 처음 접하시다 보면 헷갈릴 수 있습니다.  영아 수당과 육아 수당, 그리고 양육 수당의 차이점과 2022년부터 지

      welfare.clybly.co.kr

      2022년 아동 수당 혜택 알아보기

       

      2022년 아동 수당 혜택 알아보기

      대한민국에서 막 자녀를 낳고 키우신다면 출산 혜택인 아동수당, 양육수당, 영아 수당에 대해 많이 헷갈리시는데, 아동수당을 정확하게 알아보고, 아동수당과 함께 중복 지원되는 혜택을 알아

      welfare.clybly.co.kr

      2022년 달라지는 육아휴직 3+3 육아휴직제

       

      2022년 달라지는 육아휴직 3+3 육아휴직제

      2021년 에는 육아 휴직제도가 없었으나 2022년부터 "3+3 육아 휴직제" 새로 도입되어 육아 휴직급여가 대폭 늘어났습니다. 기존에 "아빠육아 휴직제" 의 경우 육아 휴직으로 대체되어 엄마 아빠 둘

      welfare.clybly.co.kr

      202 출산 휴가 똑똑하게 신청하기

       

      출산 휴가 똑똑하게 신청하기

      근로자이면서 임신하신 분이라면 근로기준법에 출산휴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출산 휴가의 사용기간 및 지원 대상 등 고용보험가입기간, 출산휴가를 어떻게 이용하는지 정확하게 알

      welfare.clybly.co.kr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댓글을 달아 주세요

      TistoryWhaleSkin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