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2023년 부터 도입되는 출산 지원금과 살짝 명칭과 지원금액이 달라지는 내용들이 많이 있는데요. 신청을 안한다면 못받기도 하고 중복 가능한 지원과 각각 출산 혜택과 지원금에 대해 많이 내용이 다르고, 맨 아래에는 정리해 둔내용 들이 있으니 꼭 출산 혜택에 대하여 꼭 확인해보셔서 놓치지말고 출산 복지 혜택을 지원받으시길 바랍니다. 아래에서 2023년 임산부 출산 혜택및 지원금을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2023년 출산혜택 리스트 모음
출산하면 육아에 정신 없으시겠지만 출산전에 미리 알아두신다면 편리하게 출산 혜택을 놓치지않고 다양한 출산 복지 지원금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출산 혜택과 지원금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국민행복카드
- 아동 수당
- 영아 수당 -> 부모급여 변경
- 첫만남 이용권 (첫만남 꾸러미)
- 출산 · 임신 바우처
- 육아 휴직 지원금
- 2 자녀 이상이라면 다자녀 혜택
- 지자체별 출산 축하금
- 산모 ·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 산후 도우미 지원
- 임산부 농산물 꾸러미
- 임산부 교통비지원
출산시 혜택을 정리한다고는 하였지만, 놓치는 부분도 있으니 본인에게 맞는 복지서비스를 복지로 홈페이지 를 통해 한번 더 확인해 보는것이 조금 더 똑똑하게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답니다. ^^
2023년 출산 혜택 지원금 1 - 국민 행복 카드
지원내용
-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 에너지 바우처
- 보육료
- 유아학비
- 아이돌봄 지원사업
-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의료비
- 여성 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 사회 서비스 9 종
기본적으로 국민행복카드를 발급 받아야 바우처 사용이 가능하기 대문에 국민 행복카드를 발급 받으셔야 한답니다.
신청 방법
- BC 카드 , 롯데카드, 삼성카드, KB 국민카드, 신한 카드 발급 가능
사용방법
- 카드 결제를 통한 바우처 이용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및 기저귀 조젠부유, 보육료와 유아학비 및 아이돌봄 지원사업과 에너지 바우처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바우처에서 카드결제를 통해 자동적으로 카드에서 포인트 차감 형식으로 바꾸게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등록 및 사용처 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2023년 출산 혜택 지원금 2 - 아동 수당
지원 내용
- 만 8세 미만 아동
- 월 10만원 현금 지금
신청 방법
- 복지로 홈페이지
- 행복 출산 원스톱 서비스 정부 24 홈페이지
- 주민센터 방문
만 18세미낭 아동에게 월 10만원의 현금을 지급합니다. 신청 방법으로는 복지로 홈페이지를 이용하거나, 정부 24홈페이지와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2023년 아동 수당 알아보기 로 확인해 보신다면 자세한 정보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아동수당에 관한 자세한 내요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2023년 출산 혜택 지원금 3 - 부모급여 지원금
2023년 부모급여
2023년 | 2024년 | |
만 0세 | 월 70만원 | 월 100만원 |
만 1세 | 월 35만원 | 월 50만원 |
- 2023년 부모 급여
- 만 0세 :: 70만원
- 만 1세 :: 35만원
- 2024년 부모급여
- 만 0세 :: 월 100만원
- 만 1세 :: 월 50만원
신청 방법
- 복지로 홈페이지
- 동사무소 방문 신청
양육수당과 영아수당이 통합으로 부모급여 변경되면서, 지원을금 대폭 상향향하여, 2023년에는 만 0세 자녀 둔 가정에게 70만원을, 2024년에는100만원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만 1세에게는 2023년에는 월 35만원 2024년에는 월 50만원을 지원받게됩니다. 부모급여는 별도로 신청 하지 않는담면 지원금을 받을 수 없으니 신청 바로가기를 통해 꼭 신청 하시길 바랍니다.
2023년 부모급여 안내
2023년 부터 국가에서도 출산 지원금에 관한 내용이 변경 되었는데요. 영아수당에서 부모급여로 이름이 변경되면서 출산지원금을 상향하게 되었습니다. 부모급여는 0개월~24개월 까지의 아동을
welfare.clybly.co.kr
2023년 출산 혜택 4 - 첫만남 이용권 (첫만남 꾸러미)
지원 내용
- 2022년 4월 1일 부터 지급
- 200만원 바우처 지원
신청 및 사용 방법
- 국민행복카드 자동 적립
- 국민해복카드를 통해 바우처 사용
첫만남 이용권은 200만원의 바우처를 지원하는데요. 첫만남 이용권을 사용할 수 있는 자세한 내용은 첫만남 이용권 (첫만남 꾸러미) 신청방법 과 사용처 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첫만남 이용권 (첫만남 꾸러미) 신청방법 과 사용처
2022년부터 지원 금액이 대폭 늘어나는 출산 혜택중 하나인 첫 만남 이용권(첫 만남 꾸러미) 이 있습니다. 출산 예정이라면 신청하지 않는다면 혜택들을 놓치게 되니 꼭 놓치지말고 받으셔야합니
welfare.clybly.co.kr
2023년 출산 혜택 지원금 5 - 육아 휴직
지원 내용
- 아빠 3개월 + 엄마 3개월 ,월 300만원 씩 총 600만원 (통상 임금 100%)
- 아빠 2개월 + 엄마 2개월 ,월 250만원씩 총 500만원 (통상 임금 100%)
- 아빠 1개월 + 엄마 1개월 ,월 250만원씩 총 400만원 (통상 임금 100%)
- 4개월~12개월 은 통상 임금의 80% (통상 임금 80%)
첫째달 200만원, 둘째달 250만원 셋째딸 300만원으로 엄마와 아빠 각각 750만원 씩 1500만원을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 육아휴직 급여 신청서, 육아휴직 확인서, 통상임금증명자료 준비
- 가까운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
재직 기간이 180일 이상이 되어야 하며, 2021년에 자녀를 출생하여도 3+3육아휴직제를 신청 가능하니 2022년에 신청해보시면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2022년 달라지는 육아휴직 3+3 육아휴직제
2021년 에는 육아 휴직제도가 없었으나 2022년부터 "3+3 육아 휴직제" 새로 도입되어 육아 휴직급여가 대폭 늘어났습니다. 기존에 "아빠육아 휴직제" 의 경우 육아 휴직으로 대체되어 엄마 아빠 둘
welfare.clybly.co.kr
2023년 출산 혜택 지원금 6 - 다자녀 혜택 (2자녀)
지원 요건
- 2자녀 부터 지원
지원 내용
- 아이돌봄 서비스
- 셋째 자녀부터 국가장하금 100% 지원
- 주거 지원
- 공항 주차장 할인
- 고속열차 할인
- 문화시설 이용
- 국립수목원 이용료 면제
- 다자녀 가구 자동차 취득세 감면
- 도시가스 요금 감면
- 난방비 요금 감면
- 전기 요금 감면
- 행복 출산 원스톱 서비스 가능
신청 및 사용 방법
지원 내용에 따라 신청 방법이 다릅니다. 아래에 자세하게 정리해 두었습니다. 다자녀 혜택의 신청 방법과 사용방법은 아래의 글에서 자세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2023년 다자녀 혜택 알아보기
2022년에서 2023년이 되면서 정책지원들이 바뀌게 되는데요, 다자녀 혜택의 경우 기준이 완화되면서 기존 3자녀였으나 2자녀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어, 2023년부터는 다자녀 지원을 폭넓게 지원받
welfare.clybly.co.kr
2023년 출산 혜택 지원금 7 - 지자체별 출산 축하금
지원 내용
- 지자체별로 10만원 ~ 20만원 현금 지급
신청 방법
-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본인 거주지의 지자체별 출산 축하금 검색
- 동사무소 방문 신청
- 온라인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한 신청
출산축하금의 경우 지자체별로 다릅니다. 지자체별 출산 축하금은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2023년 출산 혜택 지원금 8 - 임산부 농산물 꾸러미
지원 내용
- 연 48만원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지급
- 주문시 20% 부담금 발생
- 월 4회 최대 연 16회 이내
- 3만원이 상 10만원 이하 주문
신청 방법
- 에코이몰 온라인 신청
- 신청자격 조회 후 대상자 전성
- 온라인몰 회원 가입후 꾸러미 주문
2022년에 진행 된 임산부 농산물 꾸러미는 2월 7일부터 신청하였으나, 2023년에도 아마 2월 초부터 신청을 받지 않을까 합니다. 연 48만원의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를 본인 부담금 20%만 지급하면 월 4회, 최대 16회 주문할 수 있습니다.
1회 주문시 3만원 이상 및 10만원 이하 주문을 해주셔야합니다. 신청방법은 에코이몰을 통한 온라인 신청을 한 후 자치구에서 대상자를 선턱하면 온라인몰 회원가입후 이용할 수 있으며 아래의 글에서 자세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안내
2022.11.25 - [출산 및 자녀 복지 정책] - 2023년 출산 혜택 리스트 임산부라면 다양한 복지 지원을 받아 볼 수 있는데요. 임산부라면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게 되는데 기존의 출산혜택과 별도로 임산
welfare.clybly.co.kr
2023년 출산 혜택 지원금 9 - 임산부 교통비지원
지원 내용
- 서울시 6개월 이상 거주 임산부
- 임신 3개월 ~ 출산 후 3개월 까지 신청가능
- 1인당 최대 70만원 교통비
- 지하철‧버스‧택시‧자차‧유류비 지원
신청 방법
- 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시청
- 관할 주민센터 방문 신청 가능
- 우리‧하나‧삼성‧신한‧국민‧bc‧ 카드사 신청가능
- 국민행복카드 신청 가능
서울시 거주하는 임산부에게 1년간 최대 70만원을 지원하는 임산부 교통지 지원 사업입니다.
서울에 6개월 이상 거주 한 임산부이며, 임신 3개월 부터 출산후 3개월 까지 신청가능합니다. 1인당 최대 70만원의 교통비를 지원하며, 지하철, 버스비, 택시, 자차 유류비 를 지원합니다. 임산부 국민행복카드로도 지원받을 수 있으며, 국내 카드사의 카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서울 임산부 교통비 지원 안내
서울시에서 서울에 거주하는 임산부라면 교통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별도로 신청하지 않는 임산부라면 지원금을 받지 못하며,. 임산부 교통비지원금은 본인 명의의 휴대폰만 있다면 복잡한
welfare.clybly.co.kr
신청방법 은 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 홈페이지 및 관할 주민센터를 방문 후 신청 가능합니다.
조건부 출산 혜택 지원 내용-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산후도우미 지원 등
지원 자격
- 생계,의료,주거,교육 급여 수급자 일경우 지원 받음.
지원 내용
- 산모 영양 및 위생 관리
- 신생아 청결 관리
- 신생와 수유 지원
- 산모 와 신생와 생활공간 청소
- 산모 신생아 세탁물 세탁 지원
생계 의료 주거 교육 급여 수급자에 대해 산모 영양및 위생 관리 와 신생아 청결관리, 수유지원등으 도와줄 가사 도우미를 지원합니다.
출산 혜택과 지원금 리스트 정리
아래의 표를 확인해 보시면 출산시 중복 가능한 혜택 과 지원금 내용, 지원 혜택 별 사용 방법을 한눈에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혜택 | 혜택 기준 | 지원금 및 혜택 내용 | 기타 | ||
아동 수당 만8세미만 아동 +양육 수당 또는 +영아수당 가능 |
0~95개월 만 8세 이미만 |
월 10만원 | 매달 25일 지급 | ||
양육 수당 어린이집 or 유치원을 다니지 않고 가정에서 보육할 경우 지급 + 아동 수당 중복 지급 |
12개월 미만 24개월 미만 36개월 미만 48개월 미만 86개월 미만 |
47만원 41만 4천원 34만 3천원 24만원 24만원 |
아동 수당 중복 지원 o 양육 수당 중복 지원 x |
||
부모급여 2022년만부터 지급 |
만 2세 미만 (0개월 ~ 24개월) |
2023년 월 70만원/35만원 2024년 월 100만원/50만원 |
아동 수당 중복 지원 o | ||
출산 지원금 (첫만남 이용권) 2022년 1월 1일 출생아부터 지원 |
첫째 둘째 셋째 |
200만원 200만원 200만원 |
현금 지급이 아닌 국민 행복 카드로 바우처 사용 |
||
국민 행복 카드 | 출산시 발급 |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알아보기 링크 |
현금 지급이 아닌 국민 행복 카드로 바우처 사용 |
||
다자녀 혜택 | 2022년 부터 2자녀로 확대 하여 적용 |
다자녀 혜택 알아보기 링크 |
다자녀 혜택 링크 참조 | ||
출산 임신 바우처 지원 | 일태아 다태아 |
100만원 지원 140만원 지원 |
현금 지급이 아닌 국민 행복 카드로 바우처 사용 |
||
3+3 육아 휴직제 | 생후 1년~3개월 자녀 부모 |
1개월 휴직시 각 최대 월 200만원 최대 400만원 2개월 휴직시 각 최대 월 250만원 지원 최대 500만원 지원 3개월 휴지식 각 최대 월 300만원 지원 최대 600만원 지원 |
육아 휴직 급여 현금 지급 |
||
지자체별 출산 축하금 |
지자체별 다름 | 10만원~20만원 까지 | 현금 제공 | ||
산후 도우미 지원 | 생계,의료,주거,교육 급여 수급자 신청 가능 |
산모 영양 관리, 위생 관리 신생아 청결 관리, 수유 지원 산모 식사 준비, 산모와 신생아 생활공간 청소 산모 신생아 세탁물 |
가사 도우미 서비스 | ||
임산부 농산물 꾸러미 |
2021년 1월 1일 이후 출산 산모 및 임산부 |
연 48만원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지급 월 4회 / 연 16회 회당 3만원 이상 10만원 주문 이하 가능 |
임신 및 출산 1회만 가능 |
||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임신 3개월 ~ 출산후 3개월 임산부 | 임산부 1인당 교통비 70만원 지원 | 택시 버스 지하철 및 자차 유류비 가능 |
정부 지원 복지 무료 컨설팅 신청
카톡 무료 알림 신청하기
카톡 알림 신청을 한다면 정부 정책 지원금 및 다양한 복지 정책 혜택을 빠르게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아래 카톡 무료 알림 받기를 통해 채널을 추가하면 된답니다.
다양한 복지 혜택들을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함께 받을 수 있는 유용한 복지 혜택들이 있으니 꼭 확인하시고 놓치지말고 복지 혜택 신청하셔서 지원 받으시길 바랍니다.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및 사용처
임산부라면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게 됩니다. 하지만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아도 도통 어디에 사용하는지, 어떻게 사요해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 모르는 분들을 위한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welfare.clybly.co.kr
2023년 영아 수당 알아 보기
출산 시 혜택 받을 수 있는 영아 수당,아동 수당,출산지원금, 첫만나 꾸러미 등 여러 가지고 국가에서 지원을 받게 됩니다. 영아 수당과 아동 수당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본후 영아 수당에 대해
welfare.clybly.co.kr
아동 수당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알아보기
대한민국에서 막 자녀를 낳고 키우신다면 출산 혜택인 아동수당, 양육수당, 영아 수당에 대해 많이 헷갈리시는데, 아동수당 정확하게 알아보고, 아동수당 영아수당 및 양육수당 차이점과 출산
welfare.clybly.co.kr
첫만남 이용권 (첫만남 꾸러미) 신청방법 과 사용처
2022년부터 지원 금액이 대폭 늘어나는 출산 혜택중 하나인 첫 만남 이용권(첫 만남 꾸러미) 이 있습니다. 출산 예정이라면 신청하지 않는다면 혜택들을 놓치게 되니 꼭 놓치지말고 받으셔야합니
welfare.clybly.co.kr
2023년 달라지는 육아휴직 3+3 육아휴직제
2022년부터 "3+3 육아 휴직제" 새로 도입되어 육아 휴직급여가 대폭 늘어났습니다. 기존에 "아빠육아 휴직제" 의 경우 육아 휴직으로 대체되어 엄마 아빠 둘다 동시에 출생 12개월의 미만의 자녀를
welfare.clybly.co.kr
2023년 다자녀 혜택 알아보기
2022년에서 2023년이 되면서 정책지원들이 바뀌게 되는데요, 다자녀 혜택의 경우 기준이 완화되면서 기존 3자녀였으나 2자녀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어, 2023년부터는 다자녀 지원을 폭넓게 지원받
welfare.clybly.co.kr
2023년 부모급여 안내
2023년 부터 국가에서도 출산 지원금에 관한 내용이 변경 되었는데요. 영아수당에서 부모급여로 이름이 변경되면서 출산지원금을 상향하게 되었습니다. 부모급여는 0개월~24개월 까지의 아동을
welfare.clybly.co.kr
서울 임산부 교통비 지원 안내
서울시에서 서울에 거주하는 임산부라면 교통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별도로 신청하지 않는 임산부라면 지원금을 받지 못하며,. 임산부 교통비지원금은 본인 명의의 휴대폰만 있다면 복잡한
welfare.clybly.co.kr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안내
2022.11.25 - [출산 및 자녀 복지 정책] - 2023년 출산 혜택 리스트 임산부라면 다양한 복지 지원을 받아 볼 수 있는데요. 임산부라면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게 되는데 기존의 출산혜택과 별도로 임산
welfare.clybly.co.kr